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수학
- TSX
- 문제풀이
- 이클립스
- Stack
- 자료구조
- Algorithms
- BREW
- IntelliJ
- Oracle
- deque
- node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Eclipse
- html
- SQL
- js
- 정처산기
- jsp
- set
- npm
- react
- input
- script
- 응용SW
- java
- 백준
- 책추천
- HashMap
- googleChart
- Today
- Total
개발하자
[백준][Java] 18258번 큐 2 본문
안녕하세요 :)
적어도 하루 1개 이상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혼자 해결 가능한 문제도 있고, 어려웠던 문제도 있던 차라 복습하고자 글을 써 내려갑니다.
백준 18258 큐 2
이 문제는 큐의 기본적인 명령어를 빠르게 처리해야하는 문제인데요
입출력 데이터 양이 많기 때문에 빠른 입출력 처리까지 신경써야 합니다.
큐에 관한 설명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Algorithms]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
안녕하세요!오늘은 자료구조 중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면 좋을지 예제 코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개념
hayleyun.tistory.com
📘 문제
💡 해결 방법
일반적인 Queue 사용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지만
ArrayDeque를 활용하면 offer, poll, peekFirst, peekLast 같은 메서드를 통해 앞뒤로 쉽게 접근 가능합니다.
또한 BufferedReader와 BufferedWriter를 사용하여 입출력을 빠르게 처리해야 합니다.
✅ 풀이 및 설명 (설명은 더보기 클릭)
- push X: 큐에 X 추가 → offer
- pop: 큐의 가장 앞을 빼고 출력 → poll
- size: 큐에 들어 있는 정수 개수 → size
- empty: 큐가 비어있으면 1, 아니면 0 → isEmpty
- front: 큐의 가장 앞 출력 → peekFirst
- back: 큐의 가장 뒤 출력 → peekLast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 빠른 입력을 위한 BufferedReader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 빠른 출력을 위한 BufferedWriter
BufferedWriter bw = new BufferedWriter(new OutputStreamWriter(System.out));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 ArrayDeque를 사용하여 큐 구현
Deque<Integer> deQueue = new ArrayDeque<>();
for (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String cmd = st.nextToken();
switch (cmd) {
case "push" :
deQueue.offer(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pop" :
bw.write((deQueue.isEmpty() ? -1 : deQueue.poll()) + "\n");
break;
case "size" :
bw.write(deQueue.size() + "\n");
break;
case "empty" :
bw.write((deQueue.isEmpty() ? 1 : 0) + "\n");
break;
case "front" :
bw.write((deQueue.isEmpty() ? -1 : deQueue.peekFirst()) + "\n");
break;
case "back" :
bw.write((deQueue.isEmpty() ? -1 : deQueue.peekLast()) + "\n");
break;
}
}
// 출력 모두 모은 후 한 번에 출력
bw.flush();
bw.close();
br.close();
}
}
이 문제는 큐의 기본적인 동작을 확실히 이해하고 빠른 입출력을 고려하는 습관을 기르기 좋은 문제였습니다.
특히 ArrayDeque를 사용하면 기본 Queue보다 다양한 기능(앞, 뒤 접근)이 편리해지므로,
큐 문제를 풀 때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습관을 들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공부하면서 유용했던 부분 메모 겸 공유하고자 끄적입니다.
고쳐야 하는 부분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Algorithms > Baekjo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Java] 11866번 요세푸스 문제 0 (1) | 2025.04.26 |
---|---|
[백준][Java] 2164번 카드2 (0) | 2025.04.26 |
[백준][Java] 12789번 도키도키 간식드리미 (2) | 2025.04.26 |
[백준][Java] 4949번 균형잡힌 세상 (5) | 2025.04.25 |
[백준][Java] 9012번 괄호 (2) | 2025.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