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하자

[백준][Java] 28278번 스택 2 본문

Algorithms/Baekjoon

[백준][Java] 28278번 스택 2

개발리미 2025. 4. 24. 18:17
728x90

안녕하세요 :)

적어도 하루 1개 이상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혼자 해결 가능한 문제도 있고, 어려웠던 문제도 있던 차라 복습하고자  글을 써 내려갑니다.

 


 

백준 28278 스택 2

오늘 문제는 스택의 기본 동작인 push, pop, size, empty, top을 처리하는 구현 문제입니다.

스택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기초 문제로 java의 stack 클래스를 잘 활용하면 쉽게 해결할 수 있어요!

스택에대한 간단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Algorithms] 자료구조 -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

안녕하세요!오늘은 자료구조 중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면 좋을지 예제 코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개념

hayleyun.tistory.com

 

📘 문제

 

💡 해결 방법

명령어를 입력받아 각각의 동작을 수행해야 합니다.

Stack 클래스를 이용해 push, pop, peek 등의 기능을 구현합니다.

 

✅ 풀이 및 설명 (설명은 더보기 클릭)

더보기

 

  • 명령어 종류는 총 5가지입니다.
    1 X → X를 스택에 추가
    2 → 스택에서 가장 위에 있는 정수를 빼고 출력. 비어 있으면 -1
    3 → 스택에 들어있는 정수 개수 출력
    4 → 스택이 비어 있으면 1, 아니면 0 출력
    5 → 스택의 가장 위 정수 출력. 비어 있으면 -1 출력
  • Java에서는 Stack<Integer> 클래스를 사용하면 push(), pop(), peek() 등을 바로 사용할 수 있어서 간편합니다.
  • 단, pop()과 peek() 사용 전에는 반드시 isEmpty()로 체크해야 예외를 피할 수 있어요!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n; i++) {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cm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switch (cmd) {
                case 1 :
                    stack.push(Integer.parseInt(st.nextToken()));
                    break;
                case 2 :
                    sb.append(stack.isEmpty() ? -1 : stack.pop()).append("\n");
                    break;
                case 3 :
                    sb.append(stack.size()).append("\n");
                    break;
                case 4 :
                    sb.append(stack.isEmpty() ? 1 : 0).append("\n");
                    break;
                case 5 :
                    sb.append(stack.isEmpty() ? -1 : stack.peek()).append("\n");
                    break;
            }
        }

        System.out.println(sb);
        br.close();
    }
}

 

이번 문제는 스택의 기본적인 명령어들을 직접 구현해보면서 자료구조의 동작 원리를 복습하기 좋은 문제였습니다.

Stack의 메서드들을 어떻게 활용하는지 잘 익혀두면 다른 자료구조 문제에서도 쉽게 응용 가능합니다!

 


공부하면서 유용했던 부분 메모 겸 공유하고자 끄적입니다.

고쳐야 하는 부분 있다면 댓글 남겨주시면 수정하겠습니다.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