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ashMap
- npm
- 수학
- IntelliJ
- SQL
- 책추천
- input
- 자료구조
- java
- TSX
- react
- node
- Algorithms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정처산기
- BREW
- googleChart
- Stack
- deque
- Eclipse
- 백준
- set
- 이클립스
- script
- Oracle
- jsp
- 문제풀이
- 응용SW
- html
- js
- Today
- Total
목록Algorithms/Concepts (2)
개발하자
안녕하세요!오늘은 자료구조 중 스택(Stack), 큐(Queue), 덱(Deque)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각각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하면 좋을지 예제 코드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 개념 설명스택(Stack)- 후입선출(LIFO : Last In, First Out)예시로 웹 브라우저 뒤로가기, 재귀 호출이 있습니다 큐(Queue)- 선입선출(FIFO : First In, First Out)예시로 프린터 작업, BFS가 있습니다. 덱(Deque)- 양쪽에서 삽입/삭제 가능(Double Ended Queue)예시로 슬라이딩 윈도우 최댓값 문제, 캐시 구현이 있습니다. 🔍 자료구조 별 사용 예시 (Java 기준)// 스택Stack stack = new Stack();stack.pus..
안녕하세요 :)적어도 하루 1개 이상 알고리즘 문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습니다.혼자 해결 가능한 문제도 있고, 어려웠던 문제도 있던 차라 복습하고자 글을 써 내려갑니다. 오늘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Sieve of Eratosthenes)소수(Prime Number)는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나누어지지 않는 수를 말합니다.예를 들어 2, 3, 5, 7, 11 등의 소수입니다.에라토스테네스의 체는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에라토스테네스가 고안한 알고리즘으로,2부터 N까지의 모든 소수를 효율적으로 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알고리즘 아이디어1. 2부터 N까지의 숫자 리스트를 만든다2. 리스트에서 2는 소수이므로 남겨두고, 2의 배수들을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