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node
- script
- html
- googleChart
- TSX
- react
- googleCharts
- jsp
- CSS
- js
- 이론
- 응용SW
- 책추천
- BREW
- Eclipse
- npm
- Oracle
- 정처산기
- txs
- SQL
- SCIPRT
- input
- 붙여넣기방지
- createBro
- 이클립스
- 이미지용량제한
- IntelliJ
- java
- php version
- 병행프로세스와 상호배제
- Today
- Total
목록TECH STACKS/React (6)
개발하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S3TC/btsB7nRWlne/j4CuhVWkU2bQQ3KKGIadN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mac에서 git 연결 + node npm + vite + tailWindCss 구축하고 intelliJ로 로컬 실행을 해보려고 합니다. git 설정 1. git Repository 생성 Repository를 구축하면 연결 시 필요한 url를 얻게 됩니다. 만약, 터미널에 git 연결을 처음하신다면 tokenKey를 얻어야합니다. 2. TokenKey 얻기 프로필 > setting > Developer settings > Personal Acess Tokens > Generate new Token 으로 키를 얻습니다. Key는 한번 보면 다시 볼 수 없으니 꼭 다른 곳에 저장을 해놔야 합니다. 구축 1. 파일 만들기 원하는 경로에서 workspace 파일을 만들고 그안에 구축을 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YySl/btsB2wbDcdr/qAnHVGhKURd67fCnBJm3T0/img.png)
안녕하세요 오늘은 node install 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하려고 합니다 mac환경에서 작업을 했고, 먼저 brew가 설치되어 있어야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더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node Homebrew’s package index formulae.brew.sh 1. 터미널에서 brew install node를 작성합니다 brew insatall node 2. 설치가 완료되면 버전 등 확인 node -v npm -v 여기서 npm은 node.js로 만들어진 package(module)을 관리해주는 툴입니다. node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같이 설치 됩니다 2. 경로 확인 // brew info {설치된이름} brew info node 제일하단 /opt/homebrew/C..